백혈병산재 6

인쇄업체 작업자에서 발생한 급성골수성백혈병 안전보건공단 재해사례

성별 : 남성 나이 : 38세 직종 : 인쇄업체 작업자 개요 근로자 ○○○은 1998년 4월 1일부터 □사업장에서 근무를 시작하였다. 입사 이후 16년 동안 광고 인쇄물 편집, 실사출력(솔벤트 잉크 프린터), 재단, 포장, 시트지 시공 등의 업무를 하였다. 2014년 2월 호흡곤란과 피로 증상이 시작되었으며 4월에 골수 검사를 통해 급성 골수성 백혈병을 확진 받고 사망하였다. 이에 유가족은 16년간 인쇄업체에서 시트지 인쇄, 출력, 시공작업(인쇄물 제거 및 부착) 등을 하면서 화학약품 등 유해물질에 노출되어 질병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하여 2018년 7월 근로복지공단에 업무상질병으로 인정해 줄 것을 요청하였고, 근로복지공단은 산업안전보건연구원에 업무상질병 인정여부의 결정을 위한 역학조사를 요청하..

유압 브레이크 수리 작업자에서 발생한 만성 골수단핵구성 백혈병 안전보건공단 재해사례

성별 : 남성 나이 : 44세 직종 : 유압 브레이크 수리 개요 근로자 ○○○은 1993년 □사업장에서 유압브레이크 수리 업무를 시작한 이후, 여러 사업장에서 제본작업, 톰슨작업 등을 하였다. 2017년 5월 호흡곤란이 있어 진료를 받았는데 혈액검사결과 백혈병이 의심된다는 말을 들어 상급의료기관에서 골수검사를 시행하였고, 만성 골수단핵구성 백혈병(chronic myelomonocytic leukemia-1, CMML-1)으로 진단받았다. 2017년 7월 26일 만성 골수단핵구성 백혈병의 악화로 사망하였다. 근로자 ○○○의 유족(동생)은 유압브레이크 수리 중 벤졸 등의 세척제, 제본작업 중 접착제, 인쇄작업 중 벤졸 등에 노출되어 질병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하여 2017년 7월 31일 근로복지공단..

지게차 운전자에서 발생한 만성골수단핵구성 백혈병 안전보건공단 재해사례

성별 : 남성 나이 : 50세 직종 : 지게차운전 개요 근로자 OOO은 2011년 11월 28일부터 □사업장에 입사하여 원료 및 제품의 입출고 작업을 위해 지게차를 이용하여 원료 및 제품을 입출고를 하고, 아이스크림 콘이나 마카롱 같은 반제품을 1톤 탑차를 이용하여 운반하는 일을 하였다. 2016년 10월 27일 회사 건강검진에서 이상소견 관찰되어 대학병원에서 검사 후 2016년 11월 29일 만성골수단핵구성 백혈병 진단 받았다. 근로자는 지게차 매연을 장시간 흡입하고, 노후화된 1톤 트럭 운전석 아래 및 대시보드 송풍기에서 나오는 유증기(부동액의 노출로 기화된 산화 에틸렌 가스) 흡입으로 만성골수단핵구성 백혈병이 발생하였을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하여 2018년 2월 1일 근로복지공단에 업무상 질병을 인정..

기계설비 조작원에서 발생한 급성림프구성백혈병 안전보건공단 재해사례

성별 : 남성 / 나이 : 57세 / 직종 : 기계설비 조작원 개요 근로자 OOO은 1987년 9월 14일 □사업장에 입사하여 기계가공, 변속기 조립, 브레이크 원료배합, 변속기 성능검사 등을 수행하였으며, 2016년 7월에 어지럼증과 잇몸에서 피가 나오는데 멈추지 않고 고무줄처럼 늘어지고 끊어지지 않아 병원을 방문하여 검사한 결과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으로 진단을 받았다. 브레이크 원료배합 작업에서 사용했던 톨루엔에 벤젠이 포함될 수 있다고 들어 벤젠에 의해 질환이 발생했다고 생각을 하여 2016년 11월 업무상질병으로 산재신청을 하였고, 2017년 3월 근로복지공단은 업무상질병 인정여부의 결정을 위하여 역학조사를 요청하였다. 작업환경 기계가공의 경우 수용성과 비수용성 절삭유를 모두 사용하였으나 비수용성..

52세 남성, 코팅기계 제조 작업자에서 발생한 급성골수성백혈병 안저보건공단 재해사례

성별 : 남성 / 나이 : 52세 / 직종 : 코팅기계 제조직 개요 근로자 OOO은 2006년 6월 코팅기계 생산 업체인 □사업장에 입사하여 조립, 샘플테스트 등의 업무를 수행하던 중에 2016년 7월 25일에 급성골수성백혈병으로 진단 받았다. 이에 근로자는 업무와 인과관계를 확인하고자 근로복지공단에 역학조사를 의뢰하였고, 근로복지공단은 업무상질병 관련 여부의 확인을 위한 역학조사를 요청하였다. 작업환경 현장조사를 통한 시료포집결과 벤젠은 모두 불검출 되었지만, 과거 연구결과 등을 고려할 때 과거에 취급하였던 신나 등의 제품 중에 벤젠이 함유되었을 가능성은 있다고 볼 수 있다. 포름알데히드의 경우 세척작업에서 0.438 ppm, 테스트/코팅작업에서 0.069 ppm이 검출되었다. 물질안전보건자료에서 확인..

[강릉노무사] 혈액암 산재성공사례 : 만성 골수성 백혈병 직업병 승인 산재노무사 백혈병 산재

최초요양 만성골수성백혈병 직업병 산재 2014년 4월에 수임하여 4년6개월만에 만성 골수성백혈병에 대해 산재인정을 이끌어냈습니다. 산어안전보건공단에서도 유해물질에 대한 사례가 전혀 보고되지 않은 특이한 사건인 점을 감안하여, 오랜기간동안 현장조사와 역학조사 등을 진행하였습니다.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흔들림없이 믿고 기다려 주신 재해자분께 조금의 위로가 되기를 바랍니다." 골재 분쇄작업자에서 발생한 만성골수성백혈병 근로자는 2006. 06. 06. 사업장에 입사하여 건설현장에 납품하는 골재를생산하기 위한 크라샤 작동 운전원으로 근무하였으며 크라샤와 관련된 컨베이어 벨트 및 기계 수리 업무도 병행하였다. ​ 2012년 여름이후 체중이 급격하게 감소하고, 2013년 2월초 비장이 만져져 병원에 인원하여 "만..

주요 성공사례 2021.0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