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업환경 3

39세 난연첨가제 생산 작업자에게 발생한 관상동맥경화증 안전보건공단 재해사례 (산재 업무상 질병 역학조사)

성별 : 남 / 나이 : 39세 / 직종 : 난연첨가제 생산 개요 근로자 ○○○은 2014년 1월 스타이렌, 아크릴로니트릴 등을 원료로 난연첨가제를 생산하는 □사업장에 입사하여 생산 업무에 종사하였다. 2015년 9월 오전 9시경 출근하여 근무하던 중, 오전 11시 무렵 가슴 답답함을 호소하였다. 당일 낮 12시 경, 점심식사가 도착하여 점심식사 권유를 위해 휴게실에 올라가서 식사를 권유하였으나 먹지 않겠다고 했고, 20분 후 점심식사를 마친 후에도 내려오지 않자 동료 근로자가 다시 올라가 보니, 바닥에 쓰러져 숨을 헐떡이고 있었다. 119 신고로 현장 도착 시에 이미 심정지 상태였고, 인근 병원으로 이송하여 심폐소생술을 시도하였으나 사망하였다. 이후 부검소견에서 관상동맥경화증에 의한 사망이 합당하다고 ..

[속초노무사] 추천하는 성공사례 : 기존질환, 퇴행성 허리질환 추간판탈출증(M 코드), 근로복지공단에 나홀로 준비해서 산재접수해도 승인될 수 있나요 ?

​ 개인적 활동(운동, 밭일) 부상 + 업무적 요인에 의한 요추부부담 ​산업재해 / 최초요양 신청 / 추간판탈출증 / 허리 / 배관공 / 퇴행성 / M코드 건설현장에서 배관공으로 근무하면서 배관작업, 중량물 취급 등 척추 부담작업으로 통증이 있어 왔고, 개인적인 활동을하면서 허리 통증이 발생한 적도 있었는데, 다리가 저리고 통증이 악화되어 병원에 내원하여 제5번 - 천추 1번간 추간판 탈출 진단을 받고, 저희 노동법률 다현에 의뢰하셨습니다. ​ ​ 작업환경, 요추부 부담 요소, 현장조사 등을 진행하였으며 특히, 업무적 요인과 개인적 요인에 의한 상병상태를 의학적으로 구분하는 전문의학자문으로 증거를 수집한 후, ​ ​ 근로복지공단에 최초요급여청구서를 접수하여 상병명 m511 요추 제5본-천추1번간 추간판 ..

주요 성공사례 2021.03.12

[강릉노무사] 혈액암 산재성공사례 : 만성 골수성 백혈병 직업병 승인 산재노무사 백혈병 산재

최초요양 만성골수성백혈병 직업병 산재 2014년 4월에 수임하여 4년6개월만에 만성 골수성백혈병에 대해 산재인정을 이끌어냈습니다. 산어안전보건공단에서도 유해물질에 대한 사례가 전혀 보고되지 않은 특이한 사건인 점을 감안하여, 오랜기간동안 현장조사와 역학조사 등을 진행하였습니다.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흔들림없이 믿고 기다려 주신 재해자분께 조금의 위로가 되기를 바랍니다." 골재 분쇄작업자에서 발생한 만성골수성백혈병 근로자는 2006. 06. 06. 사업장에 입사하여 건설현장에 납품하는 골재를생산하기 위한 크라샤 작동 운전원으로 근무하였으며 크라샤와 관련된 컨베이어 벨트 및 기계 수리 업무도 병행하였다. ​ 2012년 여름이후 체중이 급격하게 감소하고, 2013년 2월초 비장이 만져져 병원에 인원하여 "만..

주요 성공사례 2021.0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