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안전 재해관리

유류(휘발유) 저장탱크 청소작업 중 폭발 사고 안전보건공단 재해사례

강릉 노무사 2021. 6. 23. 14:57

재해개요

주유소 휘발유 저장탱크 내부 청소를 위해 휘발유 회수 작업 중 발생한 정전기로 인해 휘발유 유중기가 점화되어 폭발

【 유사 재해사례 】

◆ 2018.06.05. 핸드 그라인더를 사용하여 정제유 탱크 철거 작업 중 탱크내 잔류 인화성 액체 증기가 점화되어 폭발하여 1명 사망, 4명 부상
◆ 2016.10.14. 원유 배관 매립 준비 작업중 배관내 잔류 원유 증기가 정전기에 의해 폭발하여 2명 사망, 4명 부상

 

출처 : 안전보건공단 재해사례

재해발생원인

● 폭발·화재 예방조치 미흡

- 휘발유 저장탱크 청소를 위해 작업전 충분한 시간을 갖고 탱크내 위험분위기(유증기)를 제거 하여야 하나, 제거 절차 및 확인절차 생략

 

● 정전기로 인화 화재 폭발 방지조치 미흡

- 잔류 휘발유 회수를 위한 진공펌프 차량과 호스, 휘발유 탱크 간 접지 미실시 및 도전성이 없는 PE(폴리에틸렌)호스를 사용

 

재발방지대책

● 폭발위험분위기 제거를 위한 환기 및 인화성 증기 모니터링 실시

- 충분한 시간을 갖고 저장탱크 내에 인화성 액체의 증기가 존재하지 않도록 환기 및 회수

- 탱크 진입 전 인화성 액체의 증기 등 존재 여부 확인

 

● 정전기 발생 방지 조치

- 정전기에 의한 화재·폭발을 예방하기 위해 도전성 재료로 되어 있는 설비를 사용하고 설비간 본딩 및 접지 실시

- 정전기 대전 방지용 작업복 및 보호구 착용

 

● 밀폐공간에 대한 근로자 특별안전보건교육 실시

- 특별안전보건교육 실시 및 작업을 시작할 때마다 안전한 작업방법 등을 주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