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폐암노무사 4

55년간 흡연, 채석장 착암 작업자에서 발생한 폐암 직업환경연구원 조사사례

개요 근로자 ○○○(36년생, 남자)은 각종 석산에서 착암공으로 근무한 후 2017년 12월 13일 사망하였다. 직업력(작업내용 및 작업환경) 망 근로자 ○○○의 유족인 아내와의 면담 당시의 진술에 의하면, 망 근로자 ○○○의 고향은 경기도 가평군으로 초등학교를 중퇴하고 25세 때인 1961년경에 결혼을 하였는데, 망 근로자 ○○○이 1957년도에 군대에 입대하기 전에 정확한 기간을 알지는 못하지만 화물을 운송하는 트럭의 조수로 근무하였다고 하였다. 1960년에 군대에서 제대한 이후 결혼할 즈음에 국수 공장에서 근무하고 있었으며, 결혼한 다음 해인 1962년경 여름에 철원군 ○○로 이사를 하여서 약 1년 동안 농사를 지었다고 한다. 망 근로자 ○○○이 약 27세 때인 1963년경 가을부터 친구의 소개로 ..

조선소 배관 설치 및 트랜스포터 신호수 작업자에서 발생한 폐암 직업환경연구원 조사사례

개요 근로자 ○○○(59년생, 남자)은 25세 때인 1984년 11월부터 30년 10개월간 A사업장 및 그 협력업체에서 배관 설치 및 트랜스포터 신호수 작업을 수행한 후 2015년 9월 원발성 폐암(선암, pT1aN0M0, stage Ia)을 진단받았다. 질병력 - 개인력 근로자 ○○○의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에 육군 현역으로 군복무를 하여 1983년 12월에 제대하였다. 1984년 11월 A사업장 협력업체인 B사업장에 입사하였으며, 다른 일은 전혀 하지 않았다고 하였다. 담배는 하루에 반 갑씩 15년간 피웠다고 하였다. - 원발성 폐암의 발병 및 경과 근로자 ○○○은 건강검진에서 촬영한 흉부 컴퓨터단층영상에서 폐 우하엽에 1.6 ㎝ 크기의 덩어리가 관찰되어 2015년 9월 21일 A대학병원에 입원하여 다..

48년흡연, 44년 건설현장 형틀목공으로 근무한 작업자에서 발생한 폐암 직업환경연구원 조사사례

개요 망 근로자 ○○○(44년생, 남자)은 A사업장과 여러 건설 및 도로, 터널 공사 현장에서 형틀목공으로 근무한 후 2015년 9월 22일 사망하였다. 직업력(작업내용 및 작업환경) 망 근로자 ○○○의 유족인 배우자와 차녀의 면담 당시 진술에 의하면 1968년 처음 만났는데, 당시 담배공장 건설을 위한 형틀목공으로 일하고 있었다고 한다. 1981년 일감이 많아 이주하였고, 각종 건설현장에서 형틀목공으로 일하다 1983년 1월부터 1986년 6월까지 A사업장에서 목수로 근무하였다. 사택 수리를 위한 목수 작업과, 갱내 동발 제작을 위해 목수로 일하는 한편, 간헐적으로 갱내에서 일하기도 하였는데, 교대근무는 하지 않았지만 갱내에서 보갱작업을 위한 목수로 일하는 것이 힘들어서 퇴직하였다고 한다. 퇴직 후에는..

용접공에서 발생한 폐암 직업환경연구원 조사사례

개요 근로자 ○○○(62년생, 남자)은 28세 때인 1991년 3월부터 약 25년간 여러 업체에서 용접작업을 수행한 후 2017년 8월 원발성 폐암(비소세포암, T3N3M0, stageIIIb)을 진단받았다. 직업력(작업내용 및 작업환경) 근로자 ○○○은 28세 때인 1991년 3월부터 약 25년간 여러 업체에서 용접작업을 수행한 후 2017년 8월 A대학병원에서 원발성 폐암을 진단받았다. 근로자 ○○○의 면담 당시 진술에 따르면 28세 때인 1991년 3월에 콘테이너를 만드는 업체인 A사업장에서 4개월간 용접작업을 수행하다가 1991년 7월부터 자동차 시트 프레임을 만드는 B사업장에서도 4년 8개월간 용접작업을 수행하였다고 한다. 1996년 4월부터 약 6년간 C사업장의 하청업체에서 선박 블록의 용접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