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안전보건 12

인화성 액체 이송 중 화재·폭발이 발생한 사고 안전보건공단 재해사례

발생형태 : 화재·폭발 부상정도 : 사망 1명(23세) / 부상 1명(61세) 재해개요 2022. 5. **. 경남 소재 ○○ 분체도장실 세척장에서 히터 교체을 위해 세척조 내부 세척제를 드럼 펌프를 사용하여 빈 드럼통으로 옮기는 작업 중 세척제 유증기에 화재·폭발이 발생하여 1명이 사망하고 1명이 부상당함 작업상황 - 불안전한 상태 및 작업 ● 인화성 물질제기 미실시 - 세척조 내부 인화성 액체 제거하지 않고 작업실시 ● 방폭 전기기계·기구 미사용 - 비방폭형 드럼펌프 세척조 내부에 투입하여 점화원이 됨 발생원인 ● 직접원인 - 인화성 액체 : 설비 내부에 인화성 액체의 제거 미실시 ● 기여요인 - 폭팔위험장소 설정 미실시 : 인화성액체 저장 세척조 폭발위험장소 미설정 비방폭전기계·기구를 사용 - 작업..

기밀시험 중 열교환기 파열 사고 안전보건공단 재해사례

발생형태 : 폭발 부상정도 : 사망 4명, 부상 4명 동종경력 : 상용2명, 일용6명 재해개요 ‘22.2.11.(금) 09:26경 여수소재 사업장에서 고압공기를 이용하여 열교환기 기밀시험을 하던 중 Backing Device 파단으로 Floating Head Cover가 비래하면서 4명이 사망하고, 4명이 부상. 작업상황 - 비정상적 작업 수행 ● 정상 Backing Device 등 취약부에 대해 기밀시험 전 적절한 상태 확인 및 파열방지를 위한 기밀시험 안전기준 준수 ● 비정상 Backing Device 기계적 안전성이 미흡한 상태에서 기밀시험 전 취약부에 대한 적절한 상태 확인없이 기밀시험 안전기준을 미준수하고 고압의 기밀시험 수행 발생원인 ● 직접원인 - 기계적 안전성 : Backing Device..

자동차 부품 제조라인 점검 중 갠트리로더의 그리퍼와 차체부품 사이에 끼여 사망한 사고 안전보건공단 재해사례

재해개요 2021.10.20.(수) 22:00경 충남 보령시 소재 ○○○㈜ ○○공장 내 차체부품(변속기 케이스)제조 라인에서 PTC 장비실* 안으로 들어가 조치 중이던 재해자가 하강하는 갠트리 로더(Loader)의 그리퍼(Gripper)와 차체부품 사이에 끼여 사망 * PTC 장비실 (Part Changer) : 밀링, 드릴링 등을 통해 가공이 완료된 차체부품을 갠트리로더(Gantry Loader)에 싣고 내리는 장비(로딩, 언로딩) 【 유사 재해사례 】 2021.09.23.(목) 15:12경 경남 밀양시 소재 ○○○(주) 내 공장동에서 원청업체 소속 재해자가 자동차 부품 조형기 인근에 에어건을 설치하기 위해 연장호스를 연결하던 중 턴테이블 실린더 운행구간에 머리가 끼어 사망 재해예방대책 ● 방호장치 임..

우수관로 공사 중 사면 및 옹벽 붕괴사고 안전보건공단 재해사례

재해개요 2021년 6월 1일(화) 13:40 경, 충청남도 논산시 소재 농장 개축공사 현장에서 기 설치 된 보강토 옹벽 하부 우수관로 공사를 위한 터파기 후, 굴착저면에서 우수배관 연결작업을 하던 재해자가 굴착사면 및 보강토 옹벽이 붕괴되면서 매몰되어 사망 【유사 재해사례】 ◆ 2021.05.29.(토) 강원도 화촌면 성산리 국도 공사현장에서 재해자가 굴착면 바닥(깊이 약 1.5m)에서 우수관로(내경 450㎜) 연결부 청소작업 중 굴착면이 붕괴되며 붕괴물에 매몰되어 사망 ◆ 2021.03.17.(수) 광주광역시 광산구 소재 제조업소 신축공사 현장 내 옹벽(역L형)설치 작업 중 굴착 사면 토사가 붕괴되어 사면 아래에서 옹벽 벽체거푸집 설치 작업 중 이던 재해자가 붕괴된 토사에 매몰되어 사망 재발방지대책 ..

자력선별기 회전벨트 이물질 제거작업 중 끼임 사고 안전보건공단 재해사례

재해개요 2021.02.22.(월) 23시 49경 00기업에서 자력선별기 회전벨트에 이물질이 박혀 회전벨트가 멈추자 순찰중인 재해자가 이를 발견하고 회전벨트 내측으로 상체를 밀어넣고 작업하던 중 자력선별기가 불시에 가동되어 벨트와 롤러 사이에 재해자의 신체부위(머리와 팔)가 끼어 사망 【 유사 재해사례 】 2020.09.07.(월) 00 작업장에서 재해자가 배관 운반용 롤러설비에 파이프 지지대를 추가 설치하려고 코팅용 대차*의 이동 경로상으로 들어가 설치 장소 및 크기를 확인하던 중 전진하는 코팅용 대차에 충돌하면서 재해자가 코팅용 대차와 롤러기둥에 끼여 사망 ※ 코팅용 대차 : 폴리에틸렌(PE) 분말을 파이프 내면에 도포하여 표면을 코팅하는 설비 재해예방대책 ● 정비 등의 작업 시의 운전정지 등 필요한..

LPG 저장탱크 개방검사 준비 작업 중 화재 사고 안전보건공단 재해사례

재해개요 2020.06월 ○○가스 내 LPG 저장탱크 개방검사를 위해 저장탱크 맨홀을 해체하던 중 탱크내부에서 누출된 LPG가 점화되어 화재(사망2명, 부상2명) 【 유사 재해사례 】 ◈ 2019.12 ○○주유소 휘발유 탱크 청소 작업중 화재(사망1) ◈ 2018.12 ○○공장 열교환기 볼트 해체 작업중 화재 재해발생원인 ● 탱크내 잔류 LPG제거 미흡 - 개방검사를 위해 저장탱크 개방전 탱크내 LPG를 완전히 제거하지 못함 ● 저장탱크 연결배관 차단밸브 잠금조치 미흡 - LPG 출하를 위해 개방검사 준비 작업 중 펌프를 가동하여 배관내 압력이 상승하였고, 저장탱크와 연결된 배관의 차단밸브 잠금조치가 미흡하여 탱크내 LPG 유입 ● 안전작업절차 미준수 - 촉박한 검사 시간으로 인해 LPG 저장탱크내 잔류..

반응기 세척작업 중 정전기에 의해 인화성액체의 증기 폭발·화재 사고 안전보건공단 재해사례

재해개요 ○○(주)에서 호스를 이용하여 인화성 액체를 뿌리는 방식으로 반응기 내부 이물질 세척작업 중 정전기에 의해 인화성액체의 증기 폭발(부상2명, 건물 2개 층 전소) 【 유사 재해사례 】 ◆ 2016.03. 반응기에 인화성액체 투입 후 분말 원료 추가 투입 중 인화성 액체 증기 폭발(부상2명) 재해발생원인 ● 반응기 내 불활성 조치 미흡 - 반응기 세척을 위해 인화성 액체를 사용하여 폭발위험 분위기 형성되었으나 불활성 조치가 제대로 실행되지 않음 ● 안전작업 절차(방법) 부적절 - 맨홀을 열고 외부 공기 유입이 가능한 상태에서 인화성 액체를 뿌리는 방식의 세척방법 채택 - 작업전 맨홀을 닫은 상태에서 반응기 내 불활성 조치(질소 퍼지)를 하였으나, 세척을 위해 반응기 맨홀을 다시 열어 외부 공기 유..

지게차 H빔 자재 하역작업 중 H빔 낙하하여 사망·부상 한 사고 안전보건공단 재해사례

재해개요 아파트 건설공사 현장의 가설울타리 설치를 위해 반입된 H-Beam자재를 지게차를 사용하여 화물차로부터 하역하던 중 화물차에 적재되어 있던 H-Beam이 낙하하면서 작업자 2명이 깔려 1명이 사망하고 1명이 부상함 【 유사 재해사례 】 ​ ◈ 2021.3.1.(월) 성남시 분당구 소재 빌딩 신축현장에서 지게차를 이용하여 화물차에 실린 패널(내부마감재)을 하역하던 중 패널이 적재된 파렛트가 화물차 측면으로 넘어져 재해자가 협착되어 사망 재발방지대책 ● 위험장소에 근로자 출입 금지 - 하역작업을 하는 경우에 쌓아놓은 화물이 무너지거나 화물이 떨어져 근로자에게 위험을 미칠 우려가 있는 장소에 관계 근로자가 아닌 사람의 출입을 금지하여야 함 ​ ● 중량물 취급작업 시 사전조사 등 안전조치 실시 - 중량물..

갱폼 위에서 작업하던 중 갱폼과 함께 아래로 추락하여 사망한 사고

재해개요 공공주택 건설사업 현장에서 재해자가 갱폼 최상부 작업 발판 위에서 작업 중 갱폼이 외벽에서 탈락하여 갱폼과 함께 아래로 추락(h=30m)하여 사망 재해발생원인 ● 파라펫 거푸집 해체 작업 시 해체 작업절차 미준수 - 옥상층 파라펫 거푸집 해체 작업 시 갱폼의 고정볼트를 모두 선해체한 상태에서 거푸집 해체 작업을 하는 등 해체 작업절차 미준수. ​ ● 갱폼 지지 및 고정철물 이상유무 수시 점검 및 관리감독 미실시 - 갱폼 작업발판에서 거푸집 해체 작업 전 갱폼의 지지 및 고정철물 이상유무 등 수시 점검 및 해체작업에 대한 관리감독 미실시. 재발방지대책 ● 파라펫 거푸집 해체 작업 시 해체 작업절차 준수 철저 - 옥상층 파라펫 거푸집 해체 작업 시 갱폼의 고정볼트를 미리 풀지 않도록 해체 작업절차를..

용해 고정에서 지게차를 이용하여 원재료를 투입하는 작업 중 수중기 폭발 사고 안전보건공단 재해사례

재해개요 ○○○○(주)에서 금속 원재료 용해 공정에서 재해자가 지게차를 이용하여 원재료(알루미늄 거푸집)를 반사로에 장입하는 순간, 재료 내부에 고여 있던 물이 수중기로 상(相)변화되면서 폭발하여 비산된 원재료 및 용탕에 작업자가 맞아 1명 사망, 1명 부상을 입은 재해임 재해예방대책 ● 원재료 입고 시 수분 상태 확인 - 반사로에 투입하는 원재료가 입고되는 경우 담당자를 지정하여 수분 및 기타 위험물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절차를 마련 ​ ● 원재료 보관 장소 변경 - 원재료 입고 시 수분 및 기타 위험물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한 후 빗물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장소에 보관 - 폐 알루미늄 거푸집 등 물이 고일 수 있는 원재료는 물이 고일 수 없는 상태(뒤집어서 보관하거나 파쇄 등)로 적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