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재예방 12

전신주에서 변압기 보수작업 중 발판 상부에서 추락하여 사망한 사고 안전보건공단 재해사례

재해개요 2021. 8.25.(수) 15:00분경, 경기 고양시 소재 00문화사 내 전신주에서 재해자가 변압기의 고장난 부품 교체를 위해 변압기 발판 위에서 작업하던 중 지상에서 던져주는 공구를 받으려다 몸의 중심을 잃고 지상 바닥으로 추락(H≒5m)하여 사망 【유사 재해사례】 2021. 4.15.(목) 11:15분경 전남 신안군 소재 00통신 기술지원용역 현장에서 재해자가 통신 전신주에 올라가서 무선통신 전송장비의 연결케이블 교체 작업 중 지상으로 추락(H≒12.5m)하여 사망 재해예방대책 ● 떨어짐 방지조치 철저 - 사업주는 추락 위험이 높은 장소에서 작업을 할 경우에는 안전난간 또는 안전대 부착설비를 설치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안전대를 해당 설비에 체결한 후 작업 수행하도록 하여야 함 ● 고소작업대 ..

질소 역류에 의한 질식되어 사망한 사고 안전보건공단 재해사례

재해개요 21.5.30.(일) 0000(주) 용광로의 분진을 포집하는 국소배기장치(Bag Filter 타입)에서 Pulsing용 질소가 금속포집박스로 역류되어 근로자 2명이 질식되어 사망 【 유사 재해사례 】 2019.1. 선박구조물 내부에 충진된 질소에 질식(사망 1명) 2018.5. 청소작업을 위해 챔버하단부에 진입 후 잔류된 질소에 질식(사망 1명) 2018.1. 냉각탑 내장재 교체작업 중 유입된 질소에 질식(사망 4명) 재해예방대책 ● 압축공기로 질소 대체 - 화재·폭발의 위험이 없는 경우 압축공기 사용 ● 국소배기장치 Blower와 Pulsing 연동장치 설정 - Blower 정지상태에서 Pulsing이 이뤄지는 경우 역류가 발생할 수 있어 Pulsing은 Blower가 가동되는 경우에만 작동되..

반응기 세척작업 중 정전기에 의해 인화성액체의 증기 폭발·화재 사고 안전보건공단 재해사례

재해개요 ○○(주)에서 호스를 이용하여 인화성 액체를 뿌리는 방식으로 반응기 내부 이물질 세척작업 중 정전기에 의해 인화성액체의 증기 폭발(부상2명, 건물 2개 층 전소) 【 유사 재해사례 】 ◆ 2016.03. 반응기에 인화성액체 투입 후 분말 원료 추가 투입 중 인화성 액체 증기 폭발(부상2명) 재해발생원인 ● 반응기 내 불활성 조치 미흡 - 반응기 세척을 위해 인화성 액체를 사용하여 폭발위험 분위기 형성되었으나 불활성 조치가 제대로 실행되지 않음 ● 안전작업 절차(방법) 부적절 - 맨홀을 열고 외부 공기 유입이 가능한 상태에서 인화성 액체를 뿌리는 방식의 세척방법 채택 - 작업전 맨홀을 닫은 상태에서 반응기 내 불활성 조치(질소 퍼지)를 하였으나, 세척을 위해 반응기 맨홀을 다시 열어 외부 공기 유..

충전 전로 접촉에 의한 감전 사망 사고 안전보건공단 재해사례

재해개요 조경공사 현장에서 이동식크레인을 사용하여 조경수를 이식하는 작업 중 크레인의 지브(붐) 끝부분이 인접한 충전전로(22.9kV)에 접촉되어 크레인의 훅을 잡고 있던 재해자가 감전되어 사망한 재해임 【 유사 재해사례 】 ◆ 2020.07.18. 000000 현장에서 이동식크레인으로 EPS판넬을 지붕 H형강 위로 내리던 중 전신주 변압기 상부 충전부에 판넬이 접촉되어 감전된 후 지붕에서 떨어져 사망함 ◆ 2020.03.13. 0000에서 시행하는 가로수 가지치기 정비를 수행하면서 이동식크레인 운반구에 승차하여 가지치기 작업을 하던 중 고압선에 감전되어 사망함 ◆ 2017.08.27. ㈜0000 외벽 누수부위 점검을 위해 고소작업대를 탑승하여 측면의 중간난간대를 밟고 올라서는 순간 머리가 22.9kV ..

지붕 선라이트 해체작업 중 추락하여 사망한 사고 안전보건공단 재해사례

재해개요 숙영시설 철거공사 현장에서 재해자가 건물 지붕 위에서 선라이트(Sunlight, 폴리카보네이트 재질의 지붕재)를 철거하던 중, 지면으로 떨어져(H≒3.9m) 사망 【유사 재해사례】 ◈ 2021. 3. 13.(토) 인천광역시 소재 간판 철거 현장에서 재해자가 지붕 위에서 지붕재 철거 작업 중 채광판이 깨지며 지상 1층바닥(H≒8.2m)으로 떨어져 사망 ◈ 2021. 3. 10.(수) 경북 영천시 소재 축사 지붕(칼라강판, 선라이트) 교체공사 현장에서 재해자가 로프 정리 작업 중 선라이트를 밟아 파단되면서 약 6.4m 아래로 떨어져 사망 재발방지대책 ● 떨어질 위험이 있는 높이 2미터 이상 장소 작업 시 안전대 부착설비 설치 - 떨어질 위험이 있는 높이 2m 이상 장소(선라이트 등)에서 근로자가 작..

로봇 방호울 내부 작업 작업을 하던 중 끼임 사고 안전보건공단 재해사례

재해개요 ㈜○○ 사내협력사 ○○ 소속 피재자가 무한궤도 부품 검사 로봇의 울타리 출입문 안전장치인 안전플러그가 무효화된 상태에서 내부로 들어가 로봇에 부착된 센서를 해체하던 중 로봇 암(Arm)에 부착된 지그(jig)와 적재 대 사이에 흉부가 끼여 사망 【유사 재해사례】 2020.07.30.(목) 11:50경 충남 아산시 인주면 소재 ㈜○○ 공장 작업장에서 ○○소속 피재자가 로봇 방호울로 진입하여 수리하던 중, 동료작업자가 조작반 가동스위치를 누름으로 로봇이 가동되어 피재자가 로봇 말단장치와 지그(jig) 사이에 가슴부위가 끼어 사망 재해예방대책 ● 로봇 가동 범위 내 울타리 관리 철저 - 로봇의 운전으로 인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높이 1.8m 이상의 울타리를 설치하고 안전문 및 안전 플러그가 무효화되..

PHC파일 인양 중 와이어 로프 이탈로 인근에서 작업 중이던 작업자가 전도된 파일에 깔려 사망한 사고

재해개요 2021년 1월 20일 경기도 과천시 소재 지식정보타운 공동주택 신축공사 현장에서 PHC파일*(D600mm) 이동 중 와이어로프 줄걸이(둘러매기**)가 빠지면서 이탈하여 인근에서 작업 중이던 타 공종 작업자가 전도된 파일에 깔려 사망한 재해임. * PHC Pile(Pretentioned spun High strength Concreate pile)은 원심력을 이용하여 만든 프리텐션 방식에 의한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로 깊은기초의 상부구조물 지지용으로 많이 사용 ** 둘러메기 인양방법이란 와이어로프 2줄을 PHC말뚝에 감고 각각 샤클로 고정하는 형태로 인양시 PHC파일 무게로 인해 와이어로프가 조여져 마찰에 의해 버티는 형태임. 【유사 재해사례】 ​ ◈ 2020.10.15.(목) 14:40분경 경남..

크롤러 크레인 붐 연장을 위해 붐 하부에서 연결핀을 제거 작업 중 깔려 사망한 사고 안전보건공단 재해사례

재해개요 「고속국도 제OO호선 건설공사」 현장에서 크롤러 크레인 붐 연장을 위해 붐 하부에서 연결핀을 제거하던 중 붐이 하강하면서 근로자가 깔려 사망 재해발생원인 ● 붐의 불시하강에 의한 위험방지조치 미흡 - 크롤러 크레인 연장작업을 위해 붐 하부에 들어가는 경우 갑작스러운 붐 하강에 의한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안전지지대 또는 안전블록 미설치 ​ ● 작업계획서 미작성 및 작업방법 불량 - 크롤러 크레인 붐 연장작업 시 매뉴얼 등을 고려하여 적합한 작업계획을 수립하고 준수하여야 하나, 작업계획서 미작성 및 작업방법 불량 재발방지대책 ● 붐 불시하강에 의한 위험방지조치 철저 - 크롤러 크레인 연장작업을 위해 붐 하부에 들어가는 경우 갑작스러운 붐 하강에 의한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안전지지대 또..

아파트 외벽 달비계 도장 작업 중 추락하여 사망한 사고 안전보건공단 재해사례

재해개요 아파트 균열보수 및 재도장 공사 현장에서 달비계 작업대에서 작업 중 옥상외부에 설치되어 있던 장식용 구조물 일부가 탈락ž파손되면서 아래로 낙하하여 재해자를 타격(추정), 재해자가 약 54m 아래 지면으로 추락하여 사망한 재해임. 【 유사 재해사례 】 ◆ 2020년 4월 27일(월) 12:40경 인천 동구에 소재한 건물 외벽 도장공사 현장에서 도장공이 달비계를 이용하여 건물외벽 도장작업을 하던 중 달비계 로프를 고정한 옥상난간 벽돌이 파손되어 떨어져 재해자가 벽돌에 머리를 맞아 사망 ​ ◆ 2020. 5. 12.(화) 15:30경 경기도 부천시 상동 소재 아파트 내외부 균열보수 및 재도장 공사 현장에서 외벽 재도장을 위해 달비계 작업 중 작업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보조 로프와의 매듭이 갑자기 풀리..

배하기 청소 중 배합기가 작동하여 회전날에 끼어 사망한 사고 안전보건공단 재해사례

재해개요 ○○의 원재료 배합실에서 재해자가 배합기 내부 청소 중 배합기가 작동하며 회전날(Blade)과 배합기 내벽 사이에 신체 상부가 끼어 사망 【유사 재해사례】 2020.12.25(금) 07:20분경 ○○사업장 내 2층 혼합기의 청소 작업 도중, 혼합기 날과 바닥 사이에 재해자 머리와 신체가 끼인 후 1층에서 함께 작업 중이던 동료 작업자에 의해 발견되었으나 사망 재해예방대책 ● 정비 등 작업 운전정지 등 안전조치 - 배합기의 내벽 및 회전날을 청소하기 위하여 내부에 들어갈 때에는 다른 작업자의 오조작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방호조치(기동장치에 잠금장치 설치 및 열쇠관리 또는 작업 중임을 알리는 표지판 설치 등)를 하여야 함 ​ ● 설비 운전판넬 위치 이동 - 운전판넬의 위치를 배합기 상황이 확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