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보건공단 31

제품 원단 교체 작업 중 가이드 롤러사이에 끼여 사망한 사고 안전보건공단 재해사례

재해개요 2021.10.13.(수) 10:20경 충남 보령시 소재 ㈜○○○ 공장에서 PVC 데코 타일 제품 모델교체를 위해 라미네이터*에 공급되는 원단 교체 작업 중 회전하는 2개의 원단 사이에 상체가 끼인 후 원단과 하단의 가이드 롤러 사이에 머리가 끼여 사망 * 라미네이터 : 대상이 되는 물체에 1겹 이상의 얇은 시트를 덧씌워 표면을 보호하고 강도와 안정성을 높이는 기계 일반적으로 코팅기라고 표현하기도 함 【 유사 재해사례 】 ◆ 2020.02.10.(월) 10:30경, 부산시 기장군 소재 ㈜○○○ 방사작업장에서 와인더 교체작업 중 원사를 놓쳐 앞 공정에 있는 2차 연신기에 다가가서 기존의 원사를 제거하던 중 바닥에 쌓인 원사가 재해자의 다리와 함께 연신기 롤러(Roller) 부분에 말려 들어가 롤러..

노후 상수도관 갱생작업 중 수몰사고로 사망한 안전보건공단 재해사례

재해개요 2021.06.28.(월) 14:00경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소재 노후 상수관 갱생공사 현장에서 작업자 2명이 작업구를 통해 기존 노후 상수도관 내부로 들어가서 갱생작업* 중 갑작스러운 집중호우로 인해 관로 안으로 물이 차오르자 외부로 대피 중 1명이 빠져나오지 못하고 사망한 재해임. *기존 노후 상수도관 내부의 녹을 제거하고 고압세척 건조 및 결함부위 용접 후 에폭시 도장(코팅)을 하는 작업 【유사 재해사례】 ◈ 2019. 7. 31.(수) 08:03분경 서울 양천구 소재 빗물저류 배수시설 공사현장에서 전기공 2명이 배수터널 내부에서 가설전선 정리 작업을 진행하던 중 기습적인 폭우로 배수 터널과 연결된 기존 우수박스의 수문이 자동 개방되면서 우수가 배수 터널 내부로 유입되어, 비상상황 전파 ..

포장적재기 점검 중 끼여 사망한 사고 안전보건공단 재해사례

재해개요 2021. 7. 10.(토) 14:53경 충남 공주시 소재 ○○○ 공주공장의 특수공장동에서 포장적재기(Palletizer)내에 떨어진 제품포대(몰탈)를 제거 후 재가동하는 과정에서 불시 하강한 포장적재기 덤웨이트와 프레임* 사이에 신체가 끼여 사망 * 포장적재기 :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파렛트에 제품을 자동으로 적재하는 설비 【유사 재해사례】 2014. 2. 24.(월) 19:50경 포장적재(Palletizer)공정에서 근무하는 재해자가 적재기)에서 파렛트 위치 이탈 에러를 바로잡기 위하여 적재기 내부로 들어가 파렛트 위치를 조정하던 중 적재기가 갑자기 작동하여 상승하면서 상부 플레이트와 적재기 사이에 끼여 사망 재해예방대책 ● 정비·보수등 작업시 기계 운전정지 실시 - 적재기 및 컨베이어 등..

질소 역류에 의한 질식되어 사망한 사고 안전보건공단 재해사례

재해개요 21.5.30.(일) 0000(주) 용광로의 분진을 포집하는 국소배기장치(Bag Filter 타입)에서 Pulsing용 질소가 금속포집박스로 역류되어 근로자 2명이 질식되어 사망 【 유사 재해사례 】 2019.1. 선박구조물 내부에 충진된 질소에 질식(사망 1명) 2018.5. 청소작업을 위해 챔버하단부에 진입 후 잔류된 질소에 질식(사망 1명) 2018.1. 냉각탑 내장재 교체작업 중 유입된 질소에 질식(사망 4명) 재해예방대책 ● 압축공기로 질소 대체 - 화재·폭발의 위험이 없는 경우 압축공기 사용 ● 국소배기장치 Blower와 Pulsing 연동장치 설정 - Blower 정지상태에서 Pulsing이 이뤄지는 경우 역류가 발생할 수 있어 Pulsing은 Blower가 가동되는 경우에만 작동되..

자력선별기 회전벨트 이물질 제거작업 중 끼임 사고 안전보건공단 재해사례

재해개요 2021.02.22.(월) 23시 49경 00기업에서 자력선별기 회전벨트에 이물질이 박혀 회전벨트가 멈추자 순찰중인 재해자가 이를 발견하고 회전벨트 내측으로 상체를 밀어넣고 작업하던 중 자력선별기가 불시에 가동되어 벨트와 롤러 사이에 재해자의 신체부위(머리와 팔)가 끼어 사망 【 유사 재해사례 】 2020.09.07.(월) 00 작업장에서 재해자가 배관 운반용 롤러설비에 파이프 지지대를 추가 설치하려고 코팅용 대차*의 이동 경로상으로 들어가 설치 장소 및 크기를 확인하던 중 전진하는 코팅용 대차에 충돌하면서 재해자가 코팅용 대차와 롤러기둥에 끼여 사망 ※ 코팅용 대차 : 폴리에틸렌(PE) 분말을 파이프 내면에 도포하여 표면을 코팅하는 설비 재해예방대책 ● 정비 등의 작업 시의 운전정지 등 필요한..

드럼에 저장된 부동액을 공기압축기로 이송 중 드럼이 파열되어 사망한 사고 안전보건공단 재해사례

재해개요 2021.01.20.(수) 15시 27분경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에 소재한 OO시내버스 운송업체 전기충전소 보관창고 내부에서 재해자가 드럼에 저장된 부동액을 공기압축기의 압력을 이용하여 보관탱크로 이송 중 고압에 의해 드럼이 파열되며 재해자의 오른팔 및 가슴부를 가격하여 쓰러져 119 구급대 차량으로 병원에 이송하였으나, 치료 중 사망 안전대책 ① 드럼의 목적 외 사용 금지 - 드럼은 단순히 운반 및 저장을 위한 목적의 용기이므로, 압축 공기를 주입하여 가압하는 등의 목적 외 사용을 금하여야 함.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96조(작업도구 등의 목적 외 사용 금지 등)】 ② 드럼 내부압력 상승 방지조치 철저 - 압축공기의 주입에 의하여 부동액을 이송하는 방법을 사용할 경우, 드럼의 내부압력 ..

저장탱크 용접 작업 중 폭발사고 안전보건공단 재해사례

재해개요 2019.10월 ○○(주) 내 저장탱크 외벽에 소화설비 설치를 위한 배관 지지대 용접 작업중 탱크 내 인화성 액체의 증기가 용접 열에 의해 점화되어 폭발(부상2명) 【유사 재해사례】 ◈ 2013.08 저장탱크 상부 안전난간 설치를 위해 용접 작업 중 탱크 내에서 발생한 수소가 용접열에 의해 점화(사망2, 부상1) 재해발생원인 ● 폭발·화재 예방조치 미흡 - 저장탱크 주변 화기작업을 위해 작업전 충분한 시간을 갖고 탱크내 위험분위기를 제거하여야 하나, 제거 및 확인절차 미흡 ● 작업허가 절차 미준수 - 화기작업 허가전 탱크 내부 가연성물질의 잔류 여부를 확인하지 않고, 작업허가 승인 ● 협력업체 작업에 대한 안전조치 확인 소홀 - 안전조치를 수행하지 않은 상태에서 협력업체 단독으로 실시하는 화기작..

천장크레인으로 중량물 인양 중 줄걸이 용구 이탈로 끼인 사고 안전보건공단 재해사례

재해개요 ○○○㈜ 사내협력사 소속의 재해자가 동료 작업자 1명과 함께 선박 제조용 블록(26Ton)의 곡직작업을 준비하기 위해 천장크레인을 사용하여 해당 블록을 인양하던 중 줄걸이 용구가 미끄러지며 블록이 떨어져 콘크리트 바닥에 튕기면서 재해자가 블록 하부에 끼어 사망 【유사 재해사례】 2020.12.18(금). 08:25경 전북 군산시 소재 ○○○(주) 군산현장에서 사내협력사 소속 재해자가 천장 크레인을 이용하여 철판을 들어올리는 중 철판에 걸었던 달기구 훅이 빠지면서 재해자의 얼굴부위를 가격하여 사망 출처 : 안전보건공단 재해사례 재해예방대책 ● 안전한 중량물 취급방법 및 줄걸이 용구 선정 - 중량물의 취급 작업에는 중량물이 넘어지거나 떨어지지 않도록 러그(Lug)를 사용하거나 중량물이 줄걸이 용구에..

승강기 교체작업 중 작업대와 함께 추락하여 사망한 사고

재해개요 승강기 교체공사 현장에서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내부에서 임시카*를 타고 도어행거 철거 작업을 하던 중 임시카*를 매달고 있던 줄걸이 로프(슬링벨트)가 파단되면서 약 5미터 아래 PIT바닥으로 추락하여 사망한 재해임. * 승강로 내부에서 작업하기 위해 카 프레임을 이용하여 만든 작업대 【 유사 재해사례 】 ​ ◈ 2020년 12월 26일 10:07경 안양시 동안구 소재 승강기 교체공사 현장에서 승강기 내부 철거작 중 승강기를 매달고 있던 체인이 끊어지면서 승강기와 함께 작업자가 추락(H≒22.9m)하여 사망 재해발생원인 ● 작업방법 불량 - 재해 발생 당시 엘리베이터 1호기의 권상기의 위치를 조정한 후, 기계대에 고정하기 위해 슬링벨트를 기계대의 빔에 걸어 임시카를 매달아 놓은 상태로, - 기계실 ..

PHC파일 인양 중 와이어 로프 이탈로 인근에서 작업 중이던 작업자가 전도된 파일에 깔려 사망한 사고

재해개요 2021년 1월 20일 경기도 과천시 소재 지식정보타운 공동주택 신축공사 현장에서 PHC파일*(D600mm) 이동 중 와이어로프 줄걸이(둘러매기**)가 빠지면서 이탈하여 인근에서 작업 중이던 타 공종 작업자가 전도된 파일에 깔려 사망한 재해임. * PHC Pile(Pretentioned spun High strength Concreate pile)은 원심력을 이용하여 만든 프리텐션 방식에 의한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로 깊은기초의 상부구조물 지지용으로 많이 사용 ** 둘러메기 인양방법이란 와이어로프 2줄을 PHC말뚝에 감고 각각 샤클로 고정하는 형태로 인양시 PHC파일 무게로 인해 와이어로프가 조여져 마찰에 의해 버티는 형태임. 【유사 재해사례】 ​ ◈ 2020.10.15.(목) 14:40분경 경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