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의학자문

뇌동맥류, 뇌지주막하출혈 (노동법률다현, 강릉노무사)

강릉 노무사 2016. 2. 23. 13:30


강한 능력!!  노동법률 다현입니다.


뇌속의 시한폭탄이라는 별칭을 갖고 있는 뇌동맥류의 파열로 인해 뇌지주막하출혈 등이 발생한 사건입니다.






<의료자문 소견서>

 

1. 응급실 내원당시의 상태  

갑작스런 두통을 주소로 내원하였으며 거의 의식을 잃었다가 깨어난 상태였으며 과호흡을 하고 있었고 의식은 혼란상태였습니다. 응급실에서 전신경련 1차례 있었고 CT에서 뇌지주막하 출혈, 뇌실내 출혈, 뇌실질내 출혈이 있었으며 전교통동맥의 동맥류가 터졌습니다.

   

2. 응급실 내원 후 수술시기

뇌동맥류 파열에 의한 뇌지주막하 출혈에서 터진 동맥류를 치료하는 시기를 정하는 것은 여러 요인을 검토해야 합니다. 환자의 의식상태 출혈양 뇌의 상태 경련 유무 등 여러 요인을 감안해야 합니다. 재출혈을 막기 위해서 동맥류를 치료하는데 24 시간 이내 치료하는 것이 원칙으로 되어 있습니다. 환자의 경우 경련발작이 있었으며 다음날 아침에 코일 색전술을 시행하였으며 코일색전술 이전에 재출혈이 없었습니다.

동맥류 치료시기가 늦었다고 할 수 없습니다.

   

3. 시행된 수술 당시 진단명과 주요 수술명

전교통동맥의 동맥류가 터졌는데 재출혈을 막기 위해 터진 동맥류에 코일을 넣어서 치료하는 코일 색전술을 하였습니다. 당시 진단명은 뇌지주막하출혈, 뇌실내 출혈, 뇌실질내 출혈, 전교통동맥 동맥류 파열이며 수술명은 코일 색전술입니다.

   

4. 시행된 수술기록 및 수술 세부 경과 (수술방법 등)

전교통동맥의 동맥류 코일 색전술에 대한 내용입니다. 색전술 도중 별다른 합병증이나 문제점은 발견되지 않습니다. 코일 색전술을 선택하였는데 잘못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

   

5. 1차 수술이후 수술경과

환자는 상태가 점점 나빠 졌습니다. 코일색전술은 터진 동맥류만 막아서 재출혈을 막는 것이므로 일반적인 개두술관느 다르며 환자의 경과는 뇌출혈로 인해 부종이 발생하고 혈관연축도 생기므로 점점 나빠지는 과정을 밟게 됩니다. 코일색전술이 잘못되어 환자가 나빠진 것이 아닙니다.

   

6. 환자의 상태가 명백하게 악화된 시기와 그 사유는

기록에는 ***일 운동능력이 2/3 정도로 떨어졌으며 CT에서 뇌부종이 심하였고 혈관연축도 동반된 상태였습니다. 뇌출혈로 인한 뇌부종이 심해서 뇌압이 높아져서 나빠진 것으로 생각됩니다.

    

동맥류 파열로 인한 뇌지주막하 출혈은 그 합병증으로 뇌부종, 혈관연추긍로 인한 뇌경색, 뇌수두증이 잘 생깁니다. 이런 합병증이 생겨서 환자가 악회되었습니다. 환자는 뇌부종이 심하였과 혈관역축으로 인한 뇌경색이 발생하였으며 수두증도 생겨서 뇌실복강간 단락술 시행하였습니다.

 

   

 

 

강한 능력~~ 뇌출혈, 뇌경색, 과로사 전문.

노동법률 다현

 

노무사 직통  070-7731-78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