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의학자문

진폐증 합병증, 간경화 (노동법률다현, 강릉노무사)

강릉 노무사 2016. 2. 23. 13:21

강한 능력, 노동법률 다현, 강릉노무사 입니다.

이번 사건은 진폐증, 진폐합병증, 그리고 간경화가 복합적으로 발생한 case입니다.

의학적 판단에 참고할 수 있는 유용한 사례입니다.

< 의료자문소견서 >

 

1. 일반적인 간경화의 예후 및 생존율

 

 

간경화의 예후와 생존율에 있어 일반적이라는 의미는 없습니다. 간경화는 초기 간경변증과 진행성 간경변증 환자에서의 예후가 차기가 크며 특히, 발생 원인에 따라 진행성 간경변증으로의 진행 여부가 다르기 때문에 예후에 있어서도 차이가 많습니다. 알코올성 간경변증의 경우 초기에 진단이 되면 더 이상의 알코올 섭취가 없다면 간경변증의 간경변증의 진행이 더딜 수 있습니다. 그러나 바이러스성 간염이 원인이 되는 간경변증이라고 한다면 지속적인 경화의 진행으로 인해 진행성 간경변증으로 이환 될 확률이 굉장히 높습니다. 간의 50% 이상이 섬유화가 진행된 간경변증이라고 하면 간 이식이 필요할 가능성이 높아지며 복수가 동반되었다고 하면 대부분 2년 안에 사망하게 되는 진행성 말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간경변증에서 간세포함이 발생하게 되면 예후가 또 달라지기 때문에 그만큼 간경변증의 원인, 진행 정도 및 동반질환에 따라 그 예후와 생존율은 다양합니다.

   

2. 간경화의 진단, 치료경과 및 전반적인 상태(병기, 타장기 전이여부 등)

상기 환자는 20**년 *월 **일에 강릉**병원에서 시행한 복부 CT 소견 상 비장중대물 동반한 간경병증이 관찰되며 3개월 후인 20**년 *월에는 복수에 의한 복부팽만으로 강릉**병원 응급실에 내원하여 복수천자를 시행 받았습니다. 20**년 *월에는 토혈을 주소로 내원하여 식도정맥류 출혈 진단하에 내시경적밴드결찰술을 시행 받았습니다. 그 이후 환자는 반복적인 정맥류 출혈과 복수 조절을 위해 입원 치료 받았으며 20**3월 요양병원 전원 이전 간성혼수로 치료를 받고 있었습니다. 환자는 복수 및 정맥류 출혈 등의 문맥압항진중과 간성혼수 및 간신중후군을 동반한 진행성 말기 간경변증 상태였습니다.

   

3. 간경화의 진단당시, 망인의 진폐증 및 그 합병증

 환자가 간경변증을 진단 받았던 20**3월 이전 환자의 폐 건강 상태는 진폐증으로 인하여 흡기 및 호기 폐활량은 정상인보다 다소 감소되어 있으며 제한성 폐기능 장애 상태를 보이고 있었지만 진균증이나 결핵 등의 합병증은 없는 상태였습니다.

   

4. 진폐증 및 그 합병증의 상병상태가 간경화의 수술 등 적극적인 치료를 지연시키는 등 악화요인으로 작용한 의학적인 증거

의무기록 상 환자의 간경변증 상태는 간 이식 치료가 필요한 상태의 진행성 간경변증 상태였으며 환자의 폐기능 상태는 진폐증의 기저질환으로 제한성 폐기능 상태를 보이고 있습니다. 그러나 환자가 전신마취 수술이 불가능할 정도의 폐기능 감소 소견은 보이고 있지 않아 환자의 폐 건강 상태가 간 이싱 등의 수술 치료의 걸림돌이 될 것으로 보이지는 않습니다

   

5. 망인의 사망원인

첨부된 의무기록 상 환자는 사망 전 creatinine이 상승하고 있으며 반복적인 복수와 정맥류 출혈 상태를 보이고 있어 간경변증 말기의 상태였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 후 간신 증후군이 동반되어 전신 부종과 복수조절 복량 및 비장중대로 인한 혈소판 감소증으로 반복적인 식도정맥류 출혈이 발생하였습고 **요양원 전원 전에 간성혼수가 발생한 상황이었습니다. 환자의 직접적인 사망원인은 간신증후군 및 간성혼수, 문맥압항진증을 동반한 진행성 간경변증으로 사료됩니다.

  

 

6. 사망원인으로서 간경화

 

환자는 이미 간신증후군이 의심되는 간경변증 말기 환자로 특별하게 간경화의 악화 요인이 있다가 보다나는 이미 간경변증이 악화될 대로 악화된 말기 간경변증 환자였습니다. 퇴원 시에도 혈소판이 24000밖에 되지 않는 상태였으며 지속적인 복수와 정맥류 등이 있었으며 **요양원 전원 당시 간성혼수가 완전히 호전된 상태가 아니었기 때문에 아마 요양원 전원 후 간성혼수가 악화되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7. 위 감정소견을 종합해 판단하여 사망의 원인은 무엇이며 및 간경화의 기여정도(%)

상기 환자의 사망원인은 간성혼수, 간신증후군, 문맥압항진증의 간경화에 의한 사망으로 간경변증의 기여정도는

99% 이상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강한 능력~~ 노동법률 다현 !!

강릉노무사, 강릉 산재전문, 뇌출혈, 과로성 재해, 업무상 질병

노무사 직통 070-7731-78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