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대재해 8

인화성 액체 이송 중 화재·폭발이 발생한 사고 안전보건공단 재해사례

발생형태 : 화재·폭발 부상정도 : 사망 1명(23세) / 부상 1명(61세) 재해개요 2022. 5. **. 경남 소재 ○○ 분체도장실 세척장에서 히터 교체을 위해 세척조 내부 세척제를 드럼 펌프를 사용하여 빈 드럼통으로 옮기는 작업 중 세척제 유증기에 화재·폭발이 발생하여 1명이 사망하고 1명이 부상당함 작업상황 - 불안전한 상태 및 작업 ● 인화성 물질제기 미실시 - 세척조 내부 인화성 액체 제거하지 않고 작업실시 ● 방폭 전기기계·기구 미사용 - 비방폭형 드럼펌프 세척조 내부에 투입하여 점화원이 됨 발생원인 ● 직접원인 - 인화성 액체 : 설비 내부에 인화성 액체의 제거 미실시 ● 기여요인 - 폭팔위험장소 설정 미실시 : 인화성액체 저장 세척조 폭발위험장소 미설정 비방폭전기계·기구를 사용 - 작업..

설비 구성품 조립 중 추락하여 사망한 사고 안전보건공단 재해사례

발생형태 : 추락 부상정도 : 사망 2명 연령 : 35세 재해개요 2022. 4. ○○. 경남 소재 (주)△△ 단조작업장에서 설비 구성품(약 5.26톤)을 체인슬링으로 천장크레인(10톤)에 매단 후 조립을 위해 촌동 조작 하던 중 체인슬링이 파단되면서 조립작업자 1명 및 보조 작업자 1명이 낙하하는 구성품과 함께 지면(약2.6m)으로 떨어져 사망함 작업상황 - 비정상적 작업 ● 정상 - 양중물 무게를 감안하여 안전계수가 확보된 적합한 줄걸이 용구 사용 - 아이볼트 링에 수직으로 하중이 작용하도록 줄걸이 실시 ● 비정상 - 외형 변형 및 마모가 심하고 한쪽 끝 단에만 훅이 있는 체인슬링 사용 - 아이볼트 링의 측면으로 하중을 걸어 사용 발생원인 ● 직접원인 - 달기구 : 외형 변형 및 선지름 마모가 심한 ..

폐기용제 저장탱크 폭발 사고 안전보건공단 재해사례

발생형태 : 화재폭발 부상정도 : 사망 2명 직종 : 용접공 재해개요 ‘22. 3. OO.(화) 10:23경 경기도 소재 OOOO에서 폐유기용제 저장탱크 상부에서 배관 용접작업 중 탱크가 폭발하면서 작업자 2명 사망 작업상황 ● 불안전한 상태 - 위험물질 잔류 : 저장탱크에 인화성 물질이 잔류하는 상태에서 탱크 연결 배관 용접작업을 진행함 발생원인 ● 직접원인 - 인화성물질 : 탱크 내부에 인화성 폐유기용제 잔류 - 화기작업 : 탱크 잔류 물질을 제거하지 않은 채 배관 연결 용접작업 진행 ● 기여요인 - 위험성평가 미실시 : 작업 방법, 작업 형태에 대한 위험성 평가 미실시 - 설계도서 부재 : 배관 설치작업을 위한 사전 설계도서 부재 예방대책 ● 위험물질 제거 - 탱크에 배관 연결을 위한 용접작업 실시..

순환골재라인 컨베이어에서 이동 후 콘크러셔 내부로 추락한 사고 안전보건공단 재해사례

재해개요 2021.11.17.(수) 07:00분경 충남 공주시 소재 00환경(주) 순환골재라인에서 재해자가 컨베이어 위에 올라가서 선별물을 제거한 후 갑자기 작동된 컨베이어 위에 실린 상태로 약 16m 이동하여 콘크러셔 내부로 떨어져 사망 【 유사 재해사례 】 2021.02.22.(월) 23시 49분경 00기업에서 자력선별기 회전벨트에 이물질이 박혀 회전벨트가 멈추자 순찰중인 재해자가 이를 발견하고 회전벨트 내측으로 상체를 밀어 넣고 작업하던 중 자력선별기가 불시에 가동되어 벨트와 롤러 사이에 재해자의 신체부위(머리와 팔)가 끼어 사망 재해예방대책 ● 컨베이어의 작동에 의한 위험 방지를 위해 필요한 조치 실시 - 사업주는 멈춰있는 컨베이어 위에 올라가 있는 작업자가 컨베이어가 작동이 될 경우 컨베이어에 ..

건물 외벽 경관조명 보수작업 중 달비계 작업대의 지지로프가 끊어지면서 추락하여 사망한 사고 안전보건공단 재해사례

재해개요 2021.10.23.(토) 11:00분경, 전남 여수시 소재 00호텔 건물 외벽에 설치된 경관조명을 보수하기 위해 달비계에 탑승하여 작업 중 달비계 작업대의 지지로프가 끊어지면서 지상 콘크리트 바닥으로 추락(H≒32m)하여 사망 【 유사 재해사례 】 2021.10.26.(화) 16:30분경, 전남 여수시 소재 00까페에서 달비계에 탑승하여 건물 외벽 도장작업 중 달비계 작업대에서 지상1층 바닥으로 추락(H≒12m)하여 사망 재해예방대책 ● 안전대 걸이용 로프(수직구명줄) 설치 - 달비계를 이용하여 호텔 건물 13층 외벽에 설치된 LED 경관조명 하자보수작업을 할 경우 추락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작업용 로프와는 별도로 안전대걸이용 로프(수직구명줄)를 설치하여야 함 ● 안전대(추락방지대) 지급 및 착..

자동차 부품 제조라인 점검 중 갠트리로더의 그리퍼와 차체부품 사이에 끼여 사망한 사고 안전보건공단 재해사례

재해개요 2021.10.20.(수) 22:00경 충남 보령시 소재 ○○○㈜ ○○공장 내 차체부품(변속기 케이스)제조 라인에서 PTC 장비실* 안으로 들어가 조치 중이던 재해자가 하강하는 갠트리 로더(Loader)의 그리퍼(Gripper)와 차체부품 사이에 끼여 사망 * PTC 장비실 (Part Changer) : 밀링, 드릴링 등을 통해 가공이 완료된 차체부품을 갠트리로더(Gantry Loader)에 싣고 내리는 장비(로딩, 언로딩) 【 유사 재해사례 】 2021.09.23.(목) 15:12경 경남 밀양시 소재 ○○○(주) 내 공장동에서 원청업체 소속 재해자가 자동차 부품 조형기 인근에 에어건을 설치하기 위해 연장호스를 연결하던 중 턴테이블 실린더 운행구간에 머리가 끼어 사망 재해예방대책 ● 방호장치 임..

충전 전로 접촉에 의한 감전 사망 사고 안전보건공단 재해사례

재해개요 조경공사 현장에서 이동식크레인을 사용하여 조경수를 이식하는 작업 중 크레인의 지브(붐) 끝부분이 인접한 충전전로(22.9kV)에 접촉되어 크레인의 훅을 잡고 있던 재해자가 감전되어 사망한 재해임 【 유사 재해사례 】 ◆ 2020.07.18. 000000 현장에서 이동식크레인으로 EPS판넬을 지붕 H형강 위로 내리던 중 전신주 변압기 상부 충전부에 판넬이 접촉되어 감전된 후 지붕에서 떨어져 사망함 ◆ 2020.03.13. 0000에서 시행하는 가로수 가지치기 정비를 수행하면서 이동식크레인 운반구에 승차하여 가지치기 작업을 하던 중 고압선에 감전되어 사망함 ◆ 2017.08.27. ㈜0000 외벽 누수부위 점검을 위해 고소작업대를 탑승하여 측면의 중간난간대를 밟고 올라서는 순간 머리가 22.9kV ..

산업재해 사고 처벌; 중대재해처벌법 주요 내용

중대재해란? 중대재해란, "중대산업재해"와 "중대시민재해"를 말합니다. ​ ◈ 중대산업재해란, 산업안전보건법 제2조 제1호에 따른 산업재해 중 다음 각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재해(중대재해처벌법 제2조 제2호) 중대재해처벌법 제2조제2호 ① 사망자가 1명 이상 발생 ② 동일한 사고로 6개월 이상 치료가 필요한 부상자가 2명이상 발생 ③ 동일한 유해요인으로 급성중독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직업성질병자가 1년 이내에 3명 이상 발생 ◈ 중대시민재해란, 특정원료 또는 제조물, 공중이용시설 또는 공중교통수단의 설계, 제조, 설치, 관리상의 결함을 원인으로 하여 발생한 재해로서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재해(중대재해처벌법 제2조 제3호) 중대재해처벌법 제2조3호 ① 사망자가 1명 이상 발생 ② 동일한..